유용한 사이트

STATA 2010. 3. 13. 21:03

STATA 사용법을 검색하다보면 몇몇 유용한 사이트를 발견할 수 있다.

최근 발견한 것중 하나는 http://data.princeton.edu/ 이다. 이 정보는 http://www.ats.ucla.edu/stat/ 의 어딘가에서 알려줬던 것인데, 최근 다시 찾아보니 더 잘 다듬어져서 아주 보기 좋았다. 

UCLA에서 제공하는 http://www.ats.ucla.edu/stat/ 도 정말 좋은 정보가 많다. 학계에서 사용하는 모든 통계패키지는 다 섭렵하고 있다고 봐도 무방하다. 

이 사이트들이 다 영어로 되어 있기 때문에 한눈에 들어오지 않을 수 있다. 그러나 STATA 정도의 통계패키지를 쓰는 사람이라면,약간 신경쓰면 영어를 읽는데 문제 없을 것이라 생각한다.


:

이 블로그에서 하려는 일

STATA 2010. 3. 11. 07:50

STATA(링크) 는 통계패키지 중의 하나이다.
통계분석을 필요로 하는 사람들은 여러 종류가 있다. 
그 여러 종류 사람들은 컴퓨터를 이용해서 통계분석하는 프로그램들을 필요로 한다.
사회과학을 하는 사람들--학생, 교수, 연구자를 막론하고--도 통계분석을 필요로 하는 부류이다.
SPSS, SAS와 함께 STATA도 이 부류들이 사용하는 통계패키지 중 하나이다. 
그런데, SAS와 SPSS에 비해서 STATA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비교적 적은 것 같다.
그렇다보니, STATA에 관한 정보도 다른 것들에 비해서 적은 편이다. 
한국어로 설명해주는 것은 더 적고,
사회과학하는 사람들 관점에서 알기 쉽게 설명하는 것은 더 적다.
이따금 google에서 검색해보아도, 한국어로 쓰여진 STATA 설명은 찾기 쉽지 않다.
이런 상황에서, 
사회과학도의 한 사람인 내가 STATA를 사용하면서 알게 되는 것을 간간이 여기 적고 소개하려고 한다.
남들에게 알려주는 것도 목적이지만,
내 자신도 이따금 찾아보고 기억을 되살려야 하는 사용법의 노트로 사용한다.

내 전문분야는 사회과학 중에서도, 경제사회학, 조직사회학 쪽에 가까운 (경영학의) 조직이론이다.
어떤 사람들은 거시 조직이론이라고도 부르고, 거시 조직행동론이라고도 부른다.
나와 같은 공부하는 사람들은 여기서 더 유용한 것을 발견할 수도 있을 것이다.
그러나, 그렇지 않은 사람이라고 하더라도 같은 류의 공부를 하는 사람끼리는 뭔가 원하는 것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.
보고 배운 것이 있으면, 인삿말이라도 한 줄 남겨주기 바라고
잘못된 것을 찾거나, 더 쉽고 좋은 방법을 알고 있으면 트랙백이든 뭐든 해서 더 알려주기 바란다.
인터넷에서 함께 뭔가를 서로 배워나가는 것, 중요하다.
서로 격려가 되어야지, 나도 이 블로그에서 지속적으로 나 아는 것을 알려줄 수 있다.

내가 사용하는 STATA는 10.1판이다.
2010년 3월 현재 STATA는 11판이 최신판이다. 
: